2025학년도 한국국제학교 교육실습 신청 안내
우리대학에서는 한국국제학교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2015학년도부터 한국국제학교 교육실습을 운영해 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국제학교에서 2025학년도 학교현장실습이 가능한 표시과목을 다음과 같이 알려왔기에 안내하오니 관심있는 학생은 신청 관련 내용을 확인 바랍니다. 가. 실습학교 및 실습가능 교과목 나. 학생신청기간 : 2024.12.23.(월) 오후 3시까지 다. 제 출 처 : 학과사무실 라. 지원사항 : 항공료 및 체제비 일부지원(150만원 이내) 마. 기타사항 : […]
2025학년도 1학기 시흥캠퍼스 주택 대학원생 입주자 모집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신입생 학생증(S-CARD) 발급 안내
가. 사진 교체: S-CARD 사진은 입학지원서 사진으로 인쇄 – 사진 교체 신청: 2025. 1. 6.(월) ~ 2. 7.(금) 17:00 까지 나. 금융 S-CARD(ID+금융기능) 발급 절차
2025학년도 제1학기 특별수강생 선발계획 알림
2025학년도 제1학기 특별수강생 선발계획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리오니, 희망자분께서는 붙임 2, 3을 작성하여 12.27.(금)까지 지원서를 학과사무실로 제출 바랍니다. 가. 선발과정: 석사 및 박사과정 나. 추천인원: 2025학년도 대학원 신입생 각 과정 학과별 정원의 1/10 이내 ※ 2025학년도 연간 정원으로 1학기에 특별수강생 선발가능 정원 소진시 2학기 선발 불가 다. 세부 일정 붙임 1. 2025학년도 제1학기 […]
2024학년도 전기(2025.2월) 졸업예정자 대상「서울대학교 교과인증과정」이수 신청 안내
2024학년도 전기(2025.2월) 졸업예정자 대상 「서울대학교 교과인증과정」 이수 신청과 관련하여 붙임과 같이 알려드리니, 이수 신청 및 확인 절차 등을 숙지하시어 졸업 신청에 참고 바랍니다. 붙임 2024학년도 전기 졸업예정자 대상 「서울대학교 교과인증과정」 이수 신청 안내 1부. 끝.
2025학년도 상산고등학교 신규교원(정규교사) 공개채용 안내
2025학년도 상산고등학교 신규교원(정규교사) 공개채용에 따른 공고문을 붙임과 같이 안내 드립니다. 가. 선발과목 및 선발인원 : 수학 1명,영어 1명,역사 1명, 물리 2명,화학 2명,생물 1명, 정보1명, 보건1명 계10명 나. 접수기간: 2024. 12. 3. ~ 2025. 1. 6.(월) 17:00 다. 접수방법: 이메일(sangsan5300@naver.com) 라. 자세한 사항은 학교 홈페이지(https://school.jbedu.kr/sangsan)를 참고 바랍니다. 붙임 상산고등학교 신규교원(정규교사) 공개채용 공고문 1부. 끝.
2024년 3차 학과(부) 희망도서 추천 요청
2024년 3차 학과(부) 별 중앙도서관 희망도서 추천을 아래와 같이 받을 예정이오니 추천 희망자분들께서는 붙임 1의 자료를 기한 내에 제출 바랍니다. 가. 추천 기한 : 2024. 12. 15.(월)까지 나. 문의 사항 : 880-7590(국외도서), 880-5291(국내도서/비도서), 880-8075(전자책), libacq@snu.ac.kr
공과대학·농업생명과학대학·사범대학과 행정대학원 간 학사·석사 연계과정 선발계획 알림
2025학년도 전기 공과대학·농업생명과학대학·사범대학과 행정대학원 간 학사·석사 연계과정 선발 계획을 알려드립니다. 관심있는 학생들은 붙임 2의 서식을 참고하여 지원 서류를 12.18.(수)까지 학과사무실로 제출 바랍니다.
2024년 법정의무교육(사회적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 안내
우리 대학은 「장애인복지법」 제25조 등에 따라 매년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1시간 이상 사회적 장애인식개선교육을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아래 안내에 따라 해당교육을 2024. 12. 31.(화)까지 반드시 이수할 수 있도록 확인 바랍니다.
제4회 국제 수학교육 심포지엄 개최
2024년 11월 8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제4회 국제 심포지엄은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을 중심으로 응용수학과 수학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자리였습니다. 주요 발표 내용 Session 1 류경석 교수(UCLA)가 *"In-context learning and algorithmic reasoning of large language models"*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홍영준 교수(KAIST)가 *"인공지능과 과학, 그리고 수학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인공지능의 다양한 적용과 과학 및 수학의 융합 가능성을 논의했습니다. Session 2 김우진 교수(KAIST)가 […]